저어새 처음 공부할 때 600마리 정도 남아 있다고 설명을 들었는데 지금은 개체수가 상당히 많이 증기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번식을 하고 주로 대만에서 겨울을 나는 저어새는 주걱같은 부리로 저어가면서 먹이 활동을 한다. 한국의 새/슴새과와 저어새과 2019.04.09
저어새 오래간만에 만난 저어서.... 처음 새를 보던 시기에 세계적으로 약 800마리 정도 남았다고... 멸종위디 적생이라고 하였는데.... 지금은 개체수가 많이 늘었다. 인간의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좋은 예가 아닐까 한다. 한국의 새/슴새과와 저어새과 2017.05.30
저어새 요즘 운평리에서는 자주 볼 수가 있다. 아마도 이곳에서도 번식을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논에서 여유롭게 먹이활동을 하는 저어새.... 오랜 세월 우리와 함께 있기를... 한국의 새/슴새과와 저어새과 2016.06.20
노랑부리저어새 노랑부리저어새가 월동을 할까 궁금해진다. 남쪽에서는 많은 개체수가 월동을 하지만 경기지역에서 월동을 하는 것을 아직 보지 못했다. 한국의 새/슴새과와 저어새과 2015.12.08
저어새 바닷가 얕은 곳이나 간척지·늪지·갈대밭·논 등지에서 먹이를 찾고 숲에서 잔다. 1∼2마리 또는 작은 무리를 지어 생활할 때가 많지만 20∼50마리씩 무리를 짓기도 한다. 경계심이 강해 사람이 다가가면 멀리 날아간다. 7월 하순에 4∼6개의 알을 낳는다. 한국 강화군, 중국 북동부 및 남.. 한국의 새/슴새과와 저어새과 2015.05.14
저어새 오래간만에 마음에 드는 저어새 사진을 찍어 보았다. 그것도 8마리나.... 논에서 보는 저어새는 특별히 정이 더 가는 느낌이다. 논에서는 뭘 먹을까 궁금도 하다. 한국의 새/슴새과와 저어새과 2014.06.18
저어새 완전한 여름깃이다. 이 땅에서 번식을 한다. 최근의 소식은 안타까운 소식들만 들어 온다. 번식지가 많이 파괴된 것일까 아니면 이들의 생존전략의 변화일까.... 개인적으로는 생존전략의 변화가 아닐까 한다. 한국의 새/슴새과와 저어새과 2014.04.25
노랑부리저어새와 저어새 두 새의 구분은 부리로 구분하기 보다는 부리 안쪽이 눈까지 덮고 있는가고 구분이 훨씬 더 간단히다. 이 사진은 두 종의 구분을 확실히 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요즘 시화호에는 새를 처음 접하는사람들에게는 정말 좋은 장소가 아닌가 한다. 한국의 새/슴새과와 저어새과 2013.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