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새들이 모두 어디로 갔을까요. 철조망이 사라지고 도요새들이 많이 보이지 않고 있어요.
탐조하는 방법도 도요새가 다른 곳으로 가는 중요한 요인이기도 합니다.
'한국의 새 > 도요새과 물떼새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곡리의 붉은갯도요(curlew sandpiper) (0) | 2024.05.30 |
---|---|
붉은어깨도요(Calidris tenuirostris)의 비행 (1) | 2024.05.30 |
호곡리의 장다리물떼새(Black-winged Stilt) (0) | 2024.05.30 |
호곡리의 민물도요(Dunlin) (0) | 2024.05.29 |
호곡리의 메추라기도요(Sharp-tailed Sandpiper) (0) | 2024.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