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 수컷은 바탕색이 노랑색이나 암컷은 노랑색과 흰색의 두 가지 형이 있다. 노랑색형의 경우 암수구별 이 어려움으로 배끝을 조사하는 것이 안전하다.
[생태] 4월에서 10월에 걸쳐 나타난다. 다 화성나비로 일반적으로 3회 발생이나 따뜻한 지방에서는 그 이상의 발생이 예상된다. 성충은 양지 바른 풀밭이나 밭 주변, 목장, 하천 제방 주변 등에 많으며 민첩하게 날면서 백일홍, 진달래, 파, 개망초, 민들레, 고추나무, 엉겅퀴, 토끼풀, 유채 등 많은 꽃에서 꽃꿀을 빤다. 암컷은 기주식물 잎 윗면이나 아랫면에 알 하나씩 낳는다. 번데기는 기주식물 주변의 식물가지나 줄기에서 이루어지며 겨울은 번데기로 지낸다. 어디서나 흔한 보통종이다.
[먹이식물] 돌완두, 고삼, 아카시나무, 비수리, 토끼풀, 자운영 등 (콩과 식물)
[분포]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며 국외에는 일본, 중국, 대만, 인도, 러시아 극동지역에 분포한다.









'한국의 나비 > 흰나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제나비(Aporia crataegi) (1) | 2022.10.31 |
---|---|
갈구리나비(Anthocharis scolymus Butler) (0) | 2022.10.30 |
각시멧노랑나비(Gonepteryx aspasia Mntris) (0) | 2022.10.25 |
멧노랑나비(Gonepteryx rhamni) (0) | 2022.10.24 |
극남노랑나비 (0) | 202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