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 날개 윗면은 흰색 바탕에 앞날개 끝에 삼각형 검은색 무늬가 있고 M₃맥과 뒷날개 Rs 맥상에 작은 검은색 무늬가 나타난다. 암수는 색채와 무늬의 차가 뚜렷하다. 암컷은 앞날개 중실에서부터 기부에 걸쳐 검은색 비늘이 퍼져 있고 검은색 무늬도 수컷에 비해 훨씬 발달되어 있다. 봄형 은 여름형 보다 다소 작다.
[생태] 봄형은 동해안과 서․남해안에서 3월 중순에, 내륙지방에서는 4월 초순에서 6월까지 나타나며 그후는 여름형이 10월까지 나타난다. 연 3~4회 발생하나 지역에 따라 발생횟수 는 이보다 적든가 많아진다. 배추, 무, 양배추 등을 재배하는 밭 주변과 농가 주변에 많으며 산과 들에는 적다. 나비 가운데는 드문 채소의 대해충으로 알려졌으나 근년에는 살충제의 보급으로 큰 문제는 없어졌으며 오히려 살충제 살포 여부를 가리는 지표동물로 인식이 바뀌어가고 있다. 성충은 천천히 날면서 무, 엉겅퀴, 개망초, 고들배기, 개갓냉이 등 다양한 꽃에서 꽃꿀을 빤다. 습지에서 물을 마시기도 한다. 암컷은 기주식물 의 잎 아랫면에 알을 하나씩 낳으나 때로 윗면이나 줄기에 낳는 경우도 있다. [기주식물] 배추, 무, 양배추, 콩다닥냉이 등 (십자화과 식물)
[분포] 한반도 전역에 분포한다.




'한국의 나비 > 흰나비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줄흰나비(Pieris melete) (0) | 2022.11.03 |
---|---|
대만흰나비(Pieris canidia) (0) | 2022.11.02 |
상제나비(Aporia crataegi) (1) | 2022.10.31 |
갈구리나비(Anthocharis scolymus Butler) (0) | 2022.10.30 |
노랑나비(Colias erate) (0) | 2022.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