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많이 보이지 않고 있다. 모든 생물들은 주기가 있음을 느낄 수 있다. 감이나 참나무도 해걸이를 하듯이 새들도 해걸이를 하는 느낌이다. 나무발발이나 쇠동고비다 대표적인 예이다. 새들은 번식지의 먹이가 가장 큰 영향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식물의 해걸이로부터 동물의 헤걸이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국의 새 > 종다리과 제비과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청도의 바위산제비 (0) | 2024.05.10 |
---|---|
어청도의 흰털발제비 (0) | 2024.05.09 |
갈색제비 (0) | 2023.09.07 |
제비 (0) | 2023.09.06 |
종다리 (0) | 2023.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