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청도의 새매(sparrow hawk) 큰부리까마귀와 오랫동안 공중전을 하다가 결국 도망을 가더군요. 가을의 소청도는 맹금류 천국입니다.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11.03
호곡리의 개구리매(Eastern marsh harrier) 이제는 떠나고 없는 것 같아요. 올해는 오랫동안 머물다 간 느낌입니다. 보통 10월초까지만 보였던 새인데...이제 내년 4월 정도에 다시 이곳을 통과하지 않을싸 합니다.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11.01
호곡리의 솔개(black kite) 지난주에 만났던 솔개와는 다른 개체로 보인다. 먹이를 잡아 정신없이 먹고 있어 우리의 접근을 쉽게 허용해 주었다. 과거에는 솔개를 보기 위해 부산까지 갔던 기억이 난다.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10.31
호곡리의 비둘기조롱이(red-footed falcon) 곡릉천에서 그렇게 많이 보이던 비둘기조롱이는 이제 옛일이 되었다. 최근에는 지나가다가 어쩌다 들리는 정도로 보인다고 생각이 든다. 비둘기조롱이가 많이 있던 곳은 공사판이 되었다. 그렇게 보존을 떠들던 그들은 지금 뭐하고 있다...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10.30
호곡리의 매(Peregrine falcon) 어린 개체들이 여러 마리가 보인다. 이곳에서 번식을 하지는 않았을 거고...잘 지내다가 멋진 모습 많이 보여주었으면 한다.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10.30
호곡리의 말동가리(common buzzard) 호곡리에는 이제 말똥가리가 맹금류의 우점종이 되었다. 곧 털발말똥가리도 오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보이지는 않는다.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10.30
호곡리의 개구리매(Eastern marsh harrier) 개구리매를 잘 찍는 방법에 대해서 전에도 설명했듯이 쫒아 가면 절대잘 찍을 수가 없다. 비행 예상 경로를 파악하고 미리 가서 대기하고 있으면 아주 가까이 오곤 한다. 예상 경로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는 않지만....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10.29
호곡리의 황조롱이(Common Kestrel) 이번에도 전봇대의 그 자리에 앉아 있었습니다. 언제쯤 나무에 앉아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을까요.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07.28
몽골의 새14 - Eastern Buzzard(말똥가리)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데 몽골에서는 정말 보기 힘들더군요. 숙소 바로 뒤 낮은 나무에 둥지가 있었어요.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