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의 붉은배새매(Chinese Sparrowhawk) 정말 많은 개체가 보이더군요. 그런데 하나같이 전봇대에 앉아 있어요. 조금 다른 모습을 보고 싶은데.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07.21
연천의 왕새매(Butastur indicus) 운전 중에 꾀꼬리를 보다가 만난 왕새매입니다. 연천에서 번식을 하고 있다고 들었지만 둥지는 보지 못했지요. 다른 곳에서 두 번을 보았으니 번식하는 것이 분명합니다.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07.20
호곡리의 황조롱이(Common Kestrel) 이곳에서 변식을 많이 하여 여러 마리가 보인다. 그러나 항상 전봇대의 그 자리 그 모습이다. 가끔 전깃줄에도 앉지만 보기 힘들다.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07.18
소청도의 붉은배새매(Chinese Sparrowhawk) 역시 소청도는 맹금류의 천국임을 알 수 있었다. 지나가는 많은 맹금류를 찍을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고 이것도 시기를 잘 맞추어 가야한다.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07.04
소청도의 벌매(Crested Honey Buzzard) 소청도 등대 아래에서 비행하고 있는 벌매를 운이 좋게 가까이서 볼 수 있었다. 10마리가 등대 아래에서 천천히 선회 비행을 하다가 북한 쪽으로 날아갔다. 이런 맹금류를 가까이서 볼 수 있는 것이 소청도의 매력이 아닌가 한다.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06.27
서산의 새홀리기(Eurasian hobby) 어렵게 만난 새홀리기입니다. 새는 못잡고 잠자리를 잡아 먹고 있더군요. 그런데 기억이 가물가물한데 경안습지에서 찍은 건지 혼동됩니다.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06.20
굴업도의 조롱이(Japanese Sparrowhawk) 올해 두 번째 만남이다. 사진을 찍는 순간 새매인가? 조롱이인가?를 생각하면서 찍었지만 결과적으로 새매도 있었고 조롱이도 있었고...우리가 간 시기에 굴업도는 많은 새가 있었다. 귀한 새와의 만남은 항상 마음을 흥분 시킨다. 한국의 새/수리과와 매과 2024.05.25